경운궁 현판
연대 - 1905년
재질 - 잣나무
크기 - 가로: 170.8cm, 세로: 86cm
지정현황 -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 목록(2018년)
현재 덕수궁의 옛 이름인 경운궁 즉조당에 걸려 있던 현판이다. 경운궁은 임진왜란 후 선조(재위 1567~1608)가 머물면서 궁궐로 자리잡기 시작하여 1611년(광해군 3)에 '경운궁'이라 정식 명명되었다. 고종황제가 순종황제에게 양위하고 상왕이 되어 이 궁궐에 머물면서 덕수궁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 현판은 1905년(광무 9)에 제작되었으며 고종황제가 직접 글씨를 썼다.
고종은 1893년(고종 30) 선조의 환도 300주년을 기념하여 경운궁 즉조당에 참배하고, 자주 국가를 향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그 후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으로 인한 신변의 안전확보를 위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곳에서 세계 열강들 사이에서 보다 자주적인 입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1896년(고종 33) 경운궁(덕수궁)의 수리를 명하였다.
고종은 1897년 2월 경운궁으로 환궁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이곳에서 대한제국이 황제국임을 선포하고 국가발전을 위한 일련의 노력을 하였다. 그는 경운궁에서 주로 생활하였으며, 1907년 퇴위 후에도 머무르다 생을 마감하였다.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경운궁 현판
연대 - 1905년
재질 - 잣나무
크기 - 가로: 170.8cm, 세로: 86cm
지정현황 -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 목록(2018년)
현재 덕수궁의 옛 이름인 경운궁 즉조당에 걸려 있던 현판이다. 경운궁은 임진왜란 후 선조(재위 1567~1608)가 머물면서 궁궐로 자리잡기 시작하여 1611년(광해군 3)에 '경운궁'이라 정식 명명되었다. 고종황제가 순종황제에게 양위하고 상왕이 되어 이 궁궐에 머물면서 덕수궁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이 현판은 1905년(광무 9)에 제작되었으며 고종황제가 직접 글씨를 썼다.
고종은 1893년(고종 30) 선조의 환도 300주년을 기념하여 경운궁 즉조당에 참배하고, 자주 국가를 향한 의지를 표현하였다. 그 후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으로 인한 신변의 안전확보를 위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곳에서 세계 열강들 사이에서 보다 자주적인 입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1896년(고종 33) 경운궁(덕수궁)의 수리를 명하였다.
고종은 1897년 2월 경운궁으로 환궁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이곳에서 대한제국이 황제국임을 선포하고 국가발전을 위한 일련의 노력을 하였다. 그는 경운궁에서 주로 생활하였으며, 1907년 퇴위 후에도 머무르다 생을 마감하였다.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