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종묘          

해설 활동

궁궐길라잡이는 매주 일요일 정기적으로 해설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경복궁창경궁덕수궁(경운궁)대한제국역사관(석조전)창덕궁종묘경희궁합계

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횟수인원
합계9,646234,5666,13399,7455,36676,5071,28517,4984,202323,6563,136101,4734996,17933,325942,175
1999458567278941723







1582,368
20001604,5021561,9011521,641







4688,044
20011835,3991822,5821812,144







54610,125
20022107,4392082,6672062,134







62412,240
20032358,7512343,0502332,250







70214,051
20043186,5973054,9213305,036

13414,644



1,08731,198
200550811,0233304,8223092,935

20522,965



1,35241,745
200659611,8093344,8173575,393

21823,466126948

1,63146,433
200766314,8994177,0284365,707

33134,1352181,684

2,06563,453
200856612,8323606,2354025,303

27231,9072411,726

1,84158,003
200969114,1983455,5873694,498

28632,4032651,859

1,95658,545
201057614,0442994,5382703,601

25818,1402376,879

1,64047,202
201163316,4573155,3742864,362

26513,9302288,827

1,72748,950
201268419,6153647,1972884,914

31020,75823912,834

1,88565,318
201371918,3554057,4002925,974

32621,84129310,719

2,03564,289
201469818,2084158,5312995,6061071,45631521,68629611,480436582,17367,625
201565916,4224798,5343074,7543985,39033220,98029710,6001061,3732,57868,053
201673616,7694596,6622994,6663875,25150720,70430311,9761601,8932,85167,921
201776616,3914547,1103095,4013935,40144326,09739321,9411902,2552,94884,061
201877816,0814597,2783285,6222923,63356324,72643622,9091942,1453,05882,551

비정기 주요 해설활동

  • – 민족통일대축전 북측민간대표 100여명
    – 국방부 러시아장성 등 일행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장관 등 일행
    – 짐바브웨이 대학 부총장 등 일행
    – 헝가리 국립동아시아예술박물관장 등 일행
    – 남아공 프레토리아대 정치학교수 등 일행
    – 사할린 모국방문단 5년간 매년 1회 약 250여명
    – 민화협 해외동포청년 초청 행사 참가자
    – 815민족통일대축전 북측민간대표, 해외동포단 500여명
    – 국회통상외교 통상위원회 한미의회청소년교류사업 참가자
    – 세계자연문화유산 해설사 세계대회 대표단 50여명
    – 문화체육관광부 초청 베네수엘라 TV 방송 관계자 등 일행
    – 시흥외국인복지센터, 국내거주 외국인 120여명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국내거주 외교관 40명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3개국 ICT 연수방분단 25명
    – 수원시 국제교류센터, 고려인 고국초청방문 20여명
    – 한 아세아 센터, 동남아시아 10개국 에너지 자원 관련 공무원 35명
    – 덴마크 ‘코에게 비지니스 MBA’ 대학원생 30여명
    – 국가인재원 중앙공무원교육원, 말레이시아 고위공무원 20여명

심화강좌 

궁궐길라잡이는 1년에 총 8회 심화강좌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역대 심화강좌 리스트 (~ 2018.05.30 현재)
    -일본 속의 한국문화유적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조선왕실의 상장례 (이현진, 서울시립대 서울학 연구소)
    -조선왕실의 양육과 교육(육수화, 서울대 교육연구소)
    -조선왕실의 출산과 장태(김호, 경인교육대 교수)
    -경복궁 근정전과 경희궁 숭정전 보개천장 7조룡 의미(세준스님, 동국대 선학과 외래교수)
    -사료로 보는 궁궐건축(홍석주, 서일대 건축공학과 교수)
    -궁궐 단청과 사찰 단청의 차이(김창균, 동국대 미술학부 교수)
    -궁궐에 조성된 돌, 조각된 동물의 신비로운 이야기(김민규, 간송미술과 연구원)
    -독일인 묄렌도르프, 조선의 참판이 되다(김현숙,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
    -일본 문화재학의 대부 세키노 다다시의 ‘조선고적조사’ (목수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이탈리아인 로제티의 ‘꼬레아 꼬레아니’가 담아낸 서울(전우용, 한양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러시아인 사바찐이 바라본 ‘을미사변'(김영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실장)
    -한성부의 기능과 한성판윤(임용한, 한국역사고전연구소소장)
    -궁궐의 현판과 주련(김영봉, 연세대 국학연구원)
    -자금성의 역사와 건축(이정아, 북경청화대 건축공학박사)
    -조선후기 궁궐과 사찰의 목조건축(이강근, 서울시립대 문화재학과 교수)
    -선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고지도를 통해 본 조선의 영토인식(배우성, 서울시립대 교수)
    -조선 기록문화의 꽃 의궤(신병주, 건국대학교 교수)
    -경운궁 및 정동 일대의 건축사(안창모, 경기대학교 교수)
    외 다수

정기답사 

궁궐길라잡이는 정기적으로 국내외 답사에 함께 참여합니다. 

소모임 

궁궐길라잡이는 각종 소모임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영어해설학습반, 일어해설학습반, 중어해설학습반, 왕릉답사반, 궁궐사진반, 궁궐독서단, 한복만들기 등 각종 소모임이 운영되고 있습니다.(201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