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녕전 | 강녕전은 내전의 왕의 침전(寢殿)으로 부르지만, '왕의 일상적 생활 및 업무공간'이라고 넓게 보아야 한다. 침소는 물론이고 대신들과 일상업무를 보는 집무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연회를 베풀기도했으며, 왕실 가족들과 월대를 중심으로 가설무대를 설치하여 궁중가무 등을 관람하기도 했다. 강녕은 <서경> 홍범구주(洪範九疇)의 오복(五福) 중에 셋째인 강녕(康寧)에서 유래되었는데 건강하시라는 뜻이다. 현재 강녕전을 중심으로 부속건물은 동쪽에 연생전과 연길당이 서쪽에 경성전과 응지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 건물들은 1995년도에 복원된 것으로 교태전과 함께 멀쩡했던 본래의 건물이 헐려져 창덕궁으로 옮겨진 역사적 아픔도 간직하고 있다. 이 건물의 특이한 점은 용마루가 없는 지붕의 건축양식이다. 경복궁 뿐만 아니라 다른 궁궐에도 왕과 왕비의 침전에는 용마루를 두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왕이 주무실 때 하늘의 기운을 받아야 하는데 용마루를 천기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생각한건 아닌지 추정한다.
|
교태전과 아미산 | 교태전은 왕비의 침전(寢殿)으로 중궁전(中宮殿), 곤전(坤殿)이라고도 한다. 궁궐에서도 가장 깊숙한 중심부에 위치해 구중궁궐이라 부른다. 왕비도 공식적인 업무가 많았는데 이를테면 내,외명부 총괄, 친잠례 등 주요업무와 왕의 공식적 수행업무를 보필하는 왕비의 공식적 업무도 상당했다(혼례, 제사 등). 따라서 교태전은 왕비의 공식 집무실도 겸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음(陰)과 양(陽)이 화합하고 교통하는 주역(周易)의 원리를 통해 설명되는 "태(泰)괘"를 빌려 왕조의 법통을 생산하고 이어주는 왕비의 역할을 사상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왕비는 국모로 대접을 받고 있었으나 유교적 관습으로 행동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그래서 그에 대한 위로의 공간인지 작은 동산과 꽃계단이 아미산이라 하여 곱게 꾸며졌다. 조형예술을 발휘한 굴뚝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자경전 | 경복궁 남북 중앙 중심축에서 약간 동쪽으로 벗어나 위치한다. 자경(慈慶)은 ‘자친(慈親)에게 경사가 이르기를 바란다’는 뜻을 의미하는 데 추존왕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 조대비(고종은 조대비의 양자로 왕위에 올랐음)가 오래 거처한 곳으로 유명하나 초기에는 고종의 편전으로도 사용되었다. 건물의 특징은 한 건물 같으나 세 채(자경전, 청연루, 협경당)로 이어져 있으며 청연루는 여름을 위한 공간, 자경전*협경당은 난방을 하는 일상공간으로 구성되며 기능적으로 보면 생활공간 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 외전의 엄격한 좌우대칭형 건물구조에서 기능성이 동원되는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뒤뜰에는 십장생굴뚝이 있는데 다산, 다복, 건강,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 등의 상징물로 장식하여 대비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함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서쪽 담장밖 꽃담은 매화, 천도, 모란, 석류, 국화, 대나무와 각종 문양, 전서체 글씨 등의 조형물로 단장하였다.
|
집경당, 함화당 | 교태전과 자경전을 둘러보고 경복궁 후면부에 위치한 향원정을 향할 때 넓은 공터와 나무숲을 지나게 되는데 이는 본디 공터가 아니었고 궁궐의 생활에 필요한 많은 건물들이 잇대어져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휑한 광경과 키 자란 나무들로 변해버려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에 궁궐이 훼손된 결과의 산물이다. 그 가운데 단청은 퇴색되고, 지붕은 높지 않으나 고풍스럽고 단아 한 두 채의 건물이 눈에 들어오는데 집경당과 함화당이다. 물론 담장이나 건물의 출입문 등은 없어진 채지만 건물이 시사하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고종 경복궁 중건시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오래된 건물이라 하고 고 건물이 시대의 풍상을 겪으면 이렇게 변해가는구나 하는 것 외에 일제의 철저한 훼손과정 속에서 살아(?) 남은 점. 그것이 그들의 전시실, 관리실 용도의 결과라 하니 울컥하는 상념을 건드린다.
|
향원정, 취향교 | 여기야말로 경복궁의 정원이요, 궁궐의 풍류를 이야기할 수 있는 휴식의 공간이다. 조선 전기에도 이곳은 서현정, 취로정, 접송정 등 의 정자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그래서 그런지 후기에 큰못(池)을 만들어 정자를 지으니 바로 향원정이다. 연못 한 복판 둥근 섬 안에 2층의 육각형 누각 건물을 지으니 한 폭의 조형 예술품을 올려놓은 듯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확 트이는 정경이다. 그런데 향원정으로 들어가는 다리는 현재 남쪽에 있지만 사실 본 래의 다리가 아니다. 원래의 다리는 북쪽에 아치형의 취향교가 건청궁 터를 향하여 놓여져 있었는데 6.25 전란에 불에 타버려 그 아름다운 자태를 지금은 볼 수가 없다. 또한 향원정은 우리나라 최초로 전기가 가설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향원정 연못의 서북 모퉁이에는 열상진원이란 우물도 있어 연못의 수원이 되기도 한다.
|
집옥재, 팔우정, 협길당 | 출입이 통제되는 북서쪽 담장 부근에 조금은 낯선 세 체의 건물이 보이는데 이 전각들이 집옥재, 팔우정, 협길당이다.1873년(고종 10) 건청궁을 지을 당시 함께 지어진 중국의 건축양식을 닮은 모습이다. 고종의 서재이면서 때론 외국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쓰여 졌다고 전해온다. 먼발치로 보아야 하지만 집옥재는 지붕의 모양이 궁궐의 다른 건물과 색다르게 맞배지붕과 옆면의 벽돌형식이 특이하다. 단층 같이 보이지만 내부는 다락형식의 구조가 있어서 옆의 팔우정과 2층 복도모양으로 통로가 연결된다. 팔우정은 2층의 누각건물이고,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협길당 또한 집옥재를 중심으로 한 부속적인 기능의 건물로 보인다.
|
자선당, 비현각
동궁이라는 말은 궁궐 중심에서 동쪽에 배치하면서 유래된 말로 춘궁(春宮) 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궁마마"는 바로 세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곳은 다음 보위를 이을 세자의 공간이다. 동쪽은 해가 솟는 곳, 계절로는 새싹이 움트는 봄에 해당되니 장차 이 나라 백성과 왕조의 번성을 위해 좋은 정기를 마음껏 함양하 시라는 염원의 공간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자와 세자빈이 거처하는 자선당(資善堂)은 침전이요, 비현각(丕顯閣) 은 세자가 훌륭하신 스승을 모시고 소양을 연마하는 학문의 전당이다. 자선(資善)이란 "착한 성품을 기른다"는 뜻이고, 비현(丕顯)이란 "크게 드러나다"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대에 동궁의 위상이 가장 중요하게 전해지는데 5대 임금 문종은 세자시절 이곳에서 20여년 간을 머물 렀다고 한다.
|
건청궁
건청궁은 경복궁이 중건되고 5년이 지나서 1873년(고종 10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인 1909년에 철거되어 이 자리에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지어졌으며, 한동안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사용되다가 1998년에 철거되었다. 2004년에 6월에 복원이 착공되어 2007년 10월부터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건청궁 전각들은 사대부 양반가의 집을 따라 지은 것이어서 단청을 하지 않는 건축 양식이며, 사랑채(장안당), 안채(곤녕합), 부속건물(복수당), 행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은 즉위 후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그늘아래서 그의 통치 의지를 발휘하지 못하다가 즉위 10년이 되는 1873년 경복궁 내 작은 궁궐을 신축하면서 건청궁이라 하고 자립의 의지를 표명하는 계기가 된다. 고종과 왕비가 거처하는 주요 건물로 사용되다가 비운의 을미사변(1895. 8. <음> 일본인에 의한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바로 이 장소에서 겪게 된다.
|
강녕전은 내전의 왕의 침전(寢殿)으로 부르지만, '왕의 일상적
생활 및 업무공간'이라고 넓게 보아야 한다. 침소는 물론이고 대신들과 일상업무를 보는 집무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연회를 베풀기도했으며, 왕실 가족들과 월대를 중심으로 가설무대를 설치하여 궁중가무 등을 관람하기도 했다.
강녕은 <서경> 홍범구주(洪範九疇)의 오복(五福) 중에 셋째인 강녕(康寧)에서 유래되었는데 건강하시라는 뜻이다.
현재 강녕전을 중심으로 부속건물은 동쪽에 연생전과 연길당이
서쪽에 경성전과 응지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이 건물들은 1995년도에 복원된 것으로 교태전과 함께 멀쩡했던 본래의 건물이 헐려져 창덕궁으로 옮겨진 역사적 아픔도 간직하고 있다.
이 건물의 특이한 점은 용마루가 없는 지붕의 건축양식이다. 경복궁 뿐만 아니라 다른 궁궐에도 왕과 왕비의 침전에는 용마루를 두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왕이 주무실 때 하늘의 기운을 받아야 하는데 용마루를 천기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생각한건 아닌지 추정한다.
교태전과 아미산
교태전은 왕비의 침전(寢殿)으로 중궁전(中宮殿), 곤전(坤殿)이라고도 한다. 궁궐에서도 가장 깊숙한 중심부에 위치해 구중궁궐이라 부른다.
왕비도 공식적인 업무가 많았는데 이를테면 내,외명부 총괄,
친잠례 등 주요업무와 왕의 공식적 수행업무를 보필하는 왕비의
공식적 업무도 상당했다(혼례, 제사 등). 따라서 교태전은 왕비의
공식 집무실도 겸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음(陰)과 양(陽)이 화합하고 교통하는 주역(周易)의 원리를 통해
설명되는 "태(泰)괘"를 빌려 왕조의 법통을 생산하고 이어주는
왕비의 역할을 사상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왕비는 국모로 대접을 받고 있었으나 유교적 관습으로 행동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그래서 그에 대한 위로의 공간인지 작은
동산과 꽃계단이 아미산이라 하여 곱게 꾸며졌다. 조형예술을
발휘한 굴뚝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자경전
경복궁 남북 중앙 중심축에서 약간 동쪽으로 벗어나 위치한다.
자경(慈慶)은 ‘자친(慈親)에게 경사가 이르기를 바란다’는 뜻을 의미하는 데 추존왕 익종의 비인 신정왕후 조대비(고종은 조대비의 양자로 왕위에 올랐음)가 오래 거처한 곳으로 유명하나 초기에는 고종의 편전으로도 사용되었다.
건물의 특징은 한 건물 같으나 세 채(자경전, 청연루, 협경당)로 이어져 있으며 청연루는 여름을 위한 공간, 자경전*협경당은 난방을 하는 일상공간으로 구성되며 기능적으로 보면 생활공간
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 외전의 엄격한 좌우대칭형
건물구조에서 기능성이 동원되는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뒤뜰에는 십장생굴뚝이 있는데 다산, 다복, 건강,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 등의 상징물로 장식하여 대비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함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서쪽 담장밖 꽃담은 매화, 천도, 모란, 석류, 국화, 대나무와 각종 문양, 전서체 글씨 등의 조형물로 단장하였다.
집경당, 함화당
교태전과 자경전을 둘러보고 경복궁 후면부에 위치한 향원정을
향할 때 넓은 공터와 나무숲을 지나게 되는데 이는 본디 공터가
아니었고 궁궐의 생활에 필요한 많은 건물들이 잇대어져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휑한 광경과 키 자란 나무들로 변해버려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에 궁궐이 훼손된 결과의 산물이다.
그 가운데 단청은 퇴색되고, 지붕은 높지 않으나 고풍스럽고 단아 한 두 채의 건물이 눈에 들어오는데 집경당과 함화당이다.
물론 담장이나 건물의 출입문 등은 없어진 채지만 건물이 시사하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고종 경복궁 중건시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오래된 건물이라 하고 고 건물이 시대의 풍상을 겪으면 이렇게 변해가는구나 하는 것 외에 일제의 철저한 훼손과정 속에서 살아(?) 남은 점. 그것이 그들의 전시실, 관리실 용도의 결과라 하니 울컥하는 상념을 건드린다.
향원정, 취향교
여기야말로 경복궁의 정원이요, 궁궐의 풍류를 이야기할 수 있는
휴식의 공간이다. 조선 전기에도 이곳은 서현정, 취로정, 접송정
등 의 정자가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그래서 그런지 후기에 큰못(池)을 만들어 정자를 지으니 바로 향원정이다. 연못 한 복판 둥근 섬 안에 2층의 육각형 누각 건물을 지으니 한 폭의 조형 예술품을 올려놓은 듯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확 트이는 정경이다.
그런데 향원정으로 들어가는 다리는 현재 남쪽에 있지만 사실 본
래의 다리가 아니다. 원래의 다리는 북쪽에 아치형의 취향교가
건청궁 터를 향하여 놓여져 있었는데 6.25 전란에 불에 타버려 그 아름다운 자태를 지금은 볼 수가 없다.
또한 향원정은 우리나라 최초로 전기가 가설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향원정 연못의 서북 모퉁이에는 열상진원이란 우물도 있어 연못의 수원이 되기도 한다.
집옥재, 팔우정, 협길당
먼발치로 보아야 하지만 집옥재는 지붕의 모양이 궁궐의 다른 건물과 색다르게 맞배지붕과 옆면의 벽돌형식이 특이하다. 단층 같이 보이지만 내부는 다락형식의 구조가 있어서 옆의 팔우정과 2층 복도모양으로 통로가 연결된다. 팔우정은 2층의 누각건물이고,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협길당 또한 집옥재를 중심으로 한 부속적인 기능의 건물로 보인다.
자선당, 비현각
동궁이라는 말은 궁궐 중심에서 동쪽에 배치하면서 유래된 말로 춘궁(春宮) 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궁마마"는 바로 세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곳은 다음 보위를 이을 세자의 공간이다. 동쪽은 해가 솟는
곳, 계절로는 새싹이 움트는 봄에 해당되니 장차 이 나라 백성과 왕조의 번성을 위해 좋은 정기를 마음껏 함양하
시라는 염원의 공간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세자와 세자빈이 거처하는 자선당(資善堂)은 침전이요, 비현각(丕顯閣)
은 세자가 훌륭하신 스승을 모시고 소양을 연마하는 학문의 전당이다.
자선(資善)이란 "착한 성품을 기른다"는 뜻이고, 비현(丕顯)이란 "크게 드러나다"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대에 동궁의 위상이 가장 중요하게 전해지는데 5대 임금 문종은 세자시절 이곳에서 20여년 간을 머물
렀다고 한다.
건청궁
건청궁은 경복궁이 중건되고 5년이 지나서 1873년(고종 10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인 1909년에 철거되어 이 자리에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지어졌으며, 한동안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사용되다가 1998년에 철거되었다. 2004년에 6월에 복원이 착공되어 2007년 10월부터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건청궁 전각들은 사대부 양반가의 집을 따라 지은 것이어서 단청을 하지 않는 건축 양식이며, 사랑채(장안당), 안채(곤녕합), 부속건물(복수당), 행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은 즉위 후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그늘아래서 그의 통치 의지를 발휘하지 못하다가 즉위 10년이 되는 1873년 경복궁 내 작은 궁궐을 신축하면서 건청궁이라 하고 자립의 의지를 표명하는 계기가 된다. 고종과 왕비가 거처하는 주요 건물로 사용되다가 비운의 을미사변(1895. 8. <음> 일본인에 의한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바로 이 장소에서 겪게 된다.